GA4에서는 트래픽 소스 분석을 위해 여러 가지 소스/매체(Source/Medium) 개념을 제공합니다. 대표적인 것이 다음과 같습니다.
- 세션 단위 소스/매체(Session Source/Medium)
- 기본 소스/매체(Default Source/Medium)
- 첫 사용자 소스/매체(First User Source/Medium)
각각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GA4 BigQuery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1. 세션 단위 소스/매체(Session Source/Medium)
개념
세션 단위 소스/매체는 사용자가 사이트를 방문할 때, 해당 세션의 트래픽 소스를 나타냅니다. 즉, 사용자가 사이트에 방문할 때 유입된 경로를 기반으로 설정됩니다. 세션이 종료되면 새 세션이 시작될 때 새로운 소스/매체가 할당됩니다.
GA4 BigQuery 스키마
BigQuery에서는 event_params
에서 session_source
와 session_medium
필드로 저장됩니다.
SELECT
event_bundle_sequence_id,
event_timestamp,
session_id,
event_name,
event_params.value.string_value AS session_source_medium
FROM `your_project.your_dataset.events_*
WHERE event_params.key IN ('session_source', 'session_medium')
룩백 윈도우 고려 사항
GA4에서는 기본적으로 세션이 30분 동안 유지됩니다. 즉, 사용자가 유입 후 30분이 지나지 않고 계속 활동하면 동일한 세션으로 간주됩니다. 하지만 사용자가 30분 이상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거나 자정이 지나면 새로운 세션이 생성되며 새로운 세션 단위 소스/매체가 적용됩니다.
2. 기본 소스/매체(Default Source/Medium)
개념
기본 소스/매체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적용되는 트래픽 소스입니다. 예를 들어, 특정 전환 이벤트(conversion event)나 특정 페이지 방문 시점의 트래픽 소스를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.
GA4 BigQuery 스키마
이 값은 traffic_source.source
및 traffic_source.medium
필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SELECT
user_pseudo_id,
traffic_source.source,
traffic_source.medium
FROM `your_project.your_dataset.events_*`
WHERE event_name = 'page_view'
이렇게 하면 각 이벤트에 대해 기본 소스/매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룩백 윈도우 고려 사항
이 값은 이벤트별로 설정되는 것이므로,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소스/매체가 어떻게 할당되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. 사용자가 세션 중 여러 번 다른 트래픽 소스를 통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이벤트 발생 시점의 기본 소스/매체를 따로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.
3. 첫 사용자 소스/매체(First User Source/Medium)
개념
첫 사용자 소스/매체는 특정 사용자가 처음으로 사이트나 앱을 방문할 때 유입된 트래픽 소스를 나타냅니다. 즉, 사용자가 최초 방문할 때 기록되며 이후에는 변경되지 않습니다.
GA4 BigQuery 스키마
BigQuery에서는 user_first_touch_timestamp
및 user_properties
내 first_user_source
와 first_user_medium
필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SELECT
user_pseudo_id,
user_first_touch_timestamp,
user_properties.value.string_value AS first_user_source_medium
FROM `your_project.your_dataset.events_*`
WHERE user_properties.key IN ('first_user_source', 'first_user_medium')
룩백 윈도우 고려 사항
GA4에서는 첫 방문 소스를 기록하기 위해 **반드시 사용자의 첫 이벤트(예: first_open 또는 first_visit)**를 기준으로 설정합니다. 따라서, 사용자가 여러 번 방문하더라도 최초 방문 시점의 트래픽 소스는 변경되지 않습니다.
4. 소스/매체 분석 시 고려해야 할 룩백 윈도우 정의
GA4에서는 특정 이벤트나 세션을 기준으로 트래픽 소스를 추적할 때 **룩백 윈도우(Lookback Window)**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. 룩백 윈도우는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특정 기간 동안 어떤 트래픽 소스를 유입으로 간주할지를 결정하는 개념입니다.
룩백 윈도우 예시
- 세션 단위 소스/매체 룩백: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사이트를 방문하고 30분 이상 아무 활동이 없으면 세션이 종료되고 새로운 세션이 시작됩니다.
- 전환 이벤트 룩백: 특정 전환 이벤트(예: 구매)가 발생했을 때, GA4는 과거 특정 기간(예: 30일) 동안 사용자가 처음 유입된 트래픽 소스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첫 사용자 소스 룩백: 사용자가 최초 방문한 시점에서 트래픽 소스를 설정하며 이후 변경되지 않습니다.
5. 요약 및 활용 방법
구분 | 정의 | BigQuery 필드 | 적용 대상 |
---|---|---|---|
세션 단위 소스/매체 | 사용자가 해당 세션 동안 유입된 트래픽 소스 | event_params.key = 'session_source' , event_params.key = 'session_medium' | 세션 기반 트래픽 분석 |
기본 소스/매체 |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의 트래픽 소스 | traffic_source.source , traffic_source.medium | 개별 이벤트 트래픽 분석 |
첫 사용자 소스/매체 | 사용자가 처음 방문한 트래픽 소스 | user_properties.key = 'first_user_source' , user_properties.key = 'first_user_medium' | 신규 사용자 분석 |
이러한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, GA4 BigQuery 데이터를 활용하면 보다 정교한 트래픽 소스 분석이 가능합니다. 블로그 포스팅이나 데이터 분석 보고서를 작성할 때 이 개념을 정리하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!
답글 남기기